오늘은 외계인(펨창들의 여자친구)이 존재할 확률에 대해 알아보자.
펨창들의 여친 존재에 대한 해답은 글을 끝까지 읽으면 알 수 있다
" Where are they? "
" 그들은 어디에 있나? "
1950년 밥 먹다가 던진 페르미의 질문이다.
동료 과학자들과 밥을 먹다가 우주의 고등 생명체 존재에 대해 토론 중 던진 질문
같이 밥을 먹던 과학자들은 상상을 조차 힘든 우주 스케일을 고려했을 때, 고등 외계 생명체가 존재하는 것이 당연하다 생각했지만,
페르미는 그것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럼 그들은 어디에 있기에 보이지 않는가?"
이것이 바로 페르미의 역설(Fermi paradox)이다.
나 같은 동네 아재가 친구들하고 밥 먹다가 저런 말을 했다면 숟가락으로 맞았겠지만,
이탈리아 출신의 미국인 엔리코 페르미는 무려 노벨상 수상자이다.
그의 역설은 이후 많은 과학자들의 고민거리가 되었다.
페르미의 역설에 대한 과학자들의 학설은 여러 개가 있으나 그건 이번 글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대신 진짜 외계인이 존재하는지 한 번 생각해본다
드레이크 방정식(Drake equation)
외계인은 존재 하는가? 에 대한 답변으로
1961년 프랑크 드레이크 박사가 고안한 방정식
이 방정식은 인간과 교신이(전파 등으로) 실제 가능한 우리은하 내의 고등 외계 생명체의 존재의 수를 계산하는 방정식이다
아주 쉽고 간단하다.
곱하기만 할 수 있으면 계산 쌉가능
상기 방정식의 팩터들은 사실 좋게 이야기 하면 확률이고 나쁘게 이야기하면 갠또(찍기)다
물론 드레이크를 비롯한 과학자들이 주장한 확률은 상당한 연구와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 된 수치이지만, 과학자들 간에도 수치의 편차는 상당하다
1961년 드레이크의 추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R = 10
fp = 0.5
ne = 2
fl = 1
fi = 0.01
fc = 0.01
L = 10,000
상기 값으로 계산해보면 10이 나온다
즉, 우리은하 내에 우리와 교류가능한 외계 문명이 10개는 된다는 이야기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